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3D
- Computer Vision
- deep learning
- OpenCV
- 프로그래머스
- cv2
- Deeplearning
- Python
- 임계처리
- 딥러닝
- NLP
- re-identification
- Knowledge Distillation
- 큐
- reconstruction
- 알고리즘
- 논문 구현
- level2
- numpy
- 파이썬
- Object Tracking
- flame
- 자료구조
- attention
- transformer
- Object Detection
- 스택
- point cloud
- center loss
- Threshold
- Today
- Total
공돌이 공룡의 서재
[Python] 자료구조: 시간복잡도 Big - O 정리 본문
<왜 알아야 할까>
같은 작업을 하는 코드여도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했는지에 따라 실행 시간과 사용하는 메모리 공간이 달라진다. 실행 시간이 짧고 메모리 공간을 절약하는 코드가 효율적인 코드라 볼 수 있을 것이다. 1부터 n까지 더한 값을 return하는 코드들의 비교로 감을 잡아보자.
def sum1(n):
sum = 0
for i in range(n):
sum += (i+1)
return sum
위의 코드는 for문을 함수인자 n의 값만큼 실행한다. 1부터 100까지 더한다고 치면 100번 덧셈 연산을 수행한다.
def sum2(n):
return (n+1)*n/2
위의 코드는 등차급수의 합(점화식) 공식을 이용한 코드인데 곱셈과 나누기를 한번씩 하고 바로 값을 return한다. n이 작다면 실행시간이 거의 차이나지 않는다. 만약 함수 인자 값 n이 100이 아니라 100만, 1000만 등의 큰 수로 가면 어떻게 될까? 시간을 측정하는 time module을 이용하여 실행시간을 비교해보자.
import time
def sum1(n):
start = time.time()
ans = 0
for i in range(1, n+1):
ans = ans + i
end = time.time()
print('실행시간:',end-start,'값:',ans)
def sum2(n):
start = time.time()
ans = n*(n+1)/2
end = time.time()
print('실행시간:',end-start,'값:',ans)
sum1은 함수 인자 값이 커질수록 실행시간도 커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. sum2는 함수 인자 값의 크기에 상관없이 실행 시간이 매우 짧다. (실제로 0초인 것은 아니지만 time.time() 메소드는 매우 짧은 시간 간격은 0초로 보여준다.)
sum2가 실행시간이 짧으므로 이 코드를 쓰는게 시간적으로 더 효율적일 것이다. 이처럼 코드의 실행 시간을 줄이기 위해 내장 함수나 작성한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를 알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.
<개념>
함수 인자가 매우 클 때(또는 무한으로 갈 때)의 시간 복잡도를 표현하는 방법을 Big-O notation이라고 한다. 코드에서 수행하는 연산이나 작업의 수를 수량화한 것이다.
이때 함수의 인자의 크기를 n이라 하고 O(f(n)) 으로 나타낸다. f(n) (=괄호 안에 들어가는 식)은 1, n, logn, n^2, 등 n에 대한 단항식이고 계수는 고려하지 않는다. 계수는 고려하지 않고, n^2이 있으면 그보다 작은 차수인 n이나 logn은 고려하지 않는다. 따라서 Big-O 분석 시에 연산이나 작업의 수를 정확히 다 고려할 필요는 없다. 일반적으로 for문이나 while문같은 loop의 수가 Big-O에 결정적이다. 종류에 따른 이름은 다음과 같다.
f(n) | name |
1 | constant |
log N | logarithmic |
N | linear |
N log N | superlinear |
N^2 | quadratic |
N^c | polynomial |
c^N | exponential |
N! | factorial |
위의 sum1은 for문 반복문이 n번 실행되고, 실행 시간도 n의 값과 비례하므로 O(n)이다. 반면 sum2는 점화식 계산 연산 한번만 수행하므로 O(1)에 해당한다. 다른 예시도 한번 살펴보자.
import numpy as np
def bigO(n):
matrix = np,zeros((n,n))
for i in range(n):
for j in range(n)
matrix[i][j] = i+j
sigma = 0
for i in range(n):
sigma += (i+1)
a = 1
b = 2
c = 3
중첩된 for문의 시간복잡도는 n^2 이고, 밑의 for문의 시간복잡도는 n이다. a,b,c 와 같은 할당문은 1에 해당한다. 따라서 이 함수의 시간복잡도는 O(n^2)으로 나타낼 수 있다.
<내장 함수 Big-O 정리>
List
Operation | Big - O |
index / index assignment | O(1) |
append | O(1) |
pop(i) | O(n) |
del | O(n) |
contain (=in) | O(n) |
del slice | O(n) |
reverse | O(n) |
sort | O(nlogn) |
pop() | O(1) |
insert(i,item) | O(n) |
iteration | O(n) |
get slice | O(k) |
set slice | O(n+k) |
concatenate | O(k) |
Dictionary
Operation | Big-O |
copy | O(n) |
get item | O(1) |
set item | O(1) |
delete item | O(1) |
contain (in) | O(1) |
iteration | O(n) |
+ list의 sort를 보면 nlogn으로 상당히 복잡도가 크다. 시간복잡도를 더 줄이기 위해 search 알고리즘이 필요한 이유기도 하다.
'코딩 > 자료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자료구조: 스택(Stack) / 예제로 알아보기 (0) | 2020.11.21 |
---|---|
[Python] 자료구조: 스택(Stack) / LIFO (0) | 2020.08.18 |